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국민소득(NI)이란? 국민이 실제로 버는 ‘진짜 소득’의 의미!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6. 26.
반응형

💵 경제 시스템을 알기 쉽게 풀어주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여러분,
“국민소득이 증가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 몇만 달러”
이런 뉴스 많이 보셨죠?

그런데 ‘국민소득’이란 정확히 어떤 의미일까요?
GNI(국민총소득)와는 뭐가 다르고,
임금, 이자, 이윤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이 개념,
『국민소득(National Income, NI)』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개념 및 정의

💡 국민소득(NI)란?

한 나라의 모든 국민이 일정 기간 동안 생산요소(노동·자본)를 제공하여 벌어들인 ‘순수한 소득 총액’입니다.

즉,
국민이 직접 벌어들인 돈의 총합,
회계로 따지면 ‘실제 남는 순이익’에 해당하는 개념이에요.

🧾 개념 요약표

항목 설명

용어 국민소득 (National Income, NI)
정의 생산요소(노동, 자본) 제공으로 얻은 순소득
범위 피용자보수 + 영업잉여 (임금, 이자, 이윤, 지대)
배제 항목 감가상각, 간접세 (생산·수입세) 등
구분 GNI보다 좁은 개념 (요소소득 기준)
산출 방식 국민순소득 - 생산 및 수입세 + 보조금

2. 국민총소득(GNI)과의 차이점은?

많은 분들이 **국민소득(NI)**과
**국민총소득(GNI)**을 혼동하는데요, 이렇게 정리하면 쉽습니다 👇

구분 국민총소득(GNI) 국민소득(NI)

기준 생산활동 전체에서 생긴 총소득 생산요소 제공으로 얻은 순소득
포함 감가상각, 생산세 포함 제외
활용 경제 전체의 총 수입 파악 국민 실질 소득 파악
산출 방식 GDP + 국외 순수취 요소소득 GNI - 감가상각 - 생산 및 수입세 + 보조금

✅ GNI는 ‘총소득’이고,
✅ NI는 ‘국민 손에 남는 실제 소득’이란 점이 핵심입니다!


3. 국민소득의 구성 – 어떤 소득들이 포함될까?

📦 국민소득(NI)의 구성요소

항목 설명

피용자보수 임금, 급여, 복리후생 등 노동의 대가
영업잉여 기업의 이윤, 자영업자 수익 등
이자소득 금융자산 운용에 따른 수입
지대소득 토지·건물 사용에 따른 수입
이윤 기업 및 경영 활동에서 발생한 수익

즉,
우리가 일해서 번 돈 + 자산을 굴려서 번 돈
모두가 포함됩니다.


4. 어디에 쓰일까? – 국민소득의 의미와 활용

📈 활용 분야

분야 설명 예시

거시경제 분석 국민 실질 구매력 파악 실질소득 상승률 분석
복지·소득정책 가계소득 추계의 기초 최저임금 설정, 복지예산 기준
국제비교 실질생활 수준 비교 1인당 국민소득 지표
세금 정책 과세기반 추정 근로·이자·임대소득 과세 근거

✍️ 김주임의 느낀 점

“GNI가 뉴스에 자주 나오니까
‘국민소득이 그거구나~’ 하고 넘겼었어요.
그런데 공부하면서 보니,
진짜 국민이 받는 소득은 GNI에서 빠질 것 빼고 정리한 NI더라고요.
그 차이를 알고 나니,
경제정책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어디에 영향을 미칠지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어요.”


✅ 마무리 요약

📌 핵심 정리

  • 국민소득(NI)은 국민이 생산요소를 제공해 벌어들인 순소득 총액
  • GNI에서 감가상각·생산세를 제외하고 보조금을 더한 값
  • 실질 구매력과 생활수준 분석에 활용
  • 피용자보수, 이자, 지대, 이윤 등이 포함됨
  • GNI와 구분해 보는 것이 중요!

💡 실전 팁 두 줄!
1️⃣ ‘국민소득’은 실제 내가 벌어들인 순소득!
2️⃣ GNI와 NI 차이를 이해해야 정책과 뉴스가 더 잘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