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4

[경제상식 쉽게 알기] 공매도란 무엇일까? 오늘은 주식시장과 관련해 자주 등장하는 투자 개념 '공매도(Short Selling)'에 대해 쉽게 설명드릴게요.1. 공매도란?공매도란 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입니다. 주식시장에서는 투자자가 실제로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금융기관에서 빌려서 먼저 팔고, 이후 주가가 하락하면 그 주식을 싸게 사서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얻는 투자 전략입니다.2. 공매도의 예시예를 들어 투자자가 A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에서 빌려 주당 15,000원에 매도합니다. 며칠 후 A주식의 주가가 12,000원으로 하락하면, 투자자는 시장에서 주당 12,000원에 A주식을 매수해 갚고, 차익 3,000원을 얻게 됩니다.매도 시점 가격: 15,000원매수(되갚는) 시점 가격: 12,000.. 2025. 5. 2.
[경제상식 쉽게 알기] 공급탄력성이란 무엇일까? 1. 공급탄력성이란?공급탄력성은 특정 상품의 가격이 변할 때, 공급자가 얼마나 민감하게 공급량을 변화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쉽게 말해, 가격이 오르면 공급자들이 얼마나 빨리 더 많이 팔 준비를 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2. 공급탄력성을 계산하는 법공급탄력성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공급탄력성 = 공급량 변화율 ÷ 가격 변화율예를 들어, 어떤 상품의 가격이 1% 상승했을 때 공급량이 2% 증가했다면, 공급탄력성은 2(2%÷1%)가 되고, 이 상품은 '탄력적'이라고 합니다. 즉, 공급자들이 가격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는 경우죠.반대로, 가격이 1% 상승했는데 공급량은 0.5%밖에 증가하지 않았다면, 공급탄력성은 0.5로 '비탄력적'이라고 부릅니다. 가격 변화에 둔감하다는 뜻.. 2025. 5. 1.
[경제공부 루틴📚] 공급사용표(SUT)란? 산업과 상품의 흐름을 정밀하게 그린 지도 “어떤 산업이 무엇을 얼마나 생산하고, 그 생산물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궁금한 적 있나요?”우리가 마시는 커피 한 잔도 수많은 산업과 상품의 흐름 속에 존재합니다.경제를 보다 정밀하게 이해하려면 그 흐름을 수치로 정리한 지도가 필요하죠.그 지도를 제공해주는 것이 바로 공급사용표(Supply and Use Tables; SUT)입니다.오늘은 국가 통계의 기초이자, 산업 구조와 상품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이 표에 대해 알아봅니다.🔹 공급사용표(SUT)란?공급사용표(SUT)는각 산업이 어떤 상품을 얼마나 생산(공급)하고,그 상품이 어디에 얼마나 쓰였는지를 기록한 통계표입니다.📌 말 그대로 ‘무엇을 공급하고, 어디에 사용했는가’에 대한 종합적 장부!✔ 산업 기준 → 현실을 보다 잘 반영✔ 국민소득통.. 2025. 4. 30.
4월 30일자 비트버니 오늘의 퀴즈 ㅇㅅ 출근길 지하철에서 뉴스보다 퀴즈 한 판이 더 땡기는 아침이에요.특히 비트버니 퀴즈는 돈 버는 재미까지 있어서 출근길 필수 코스가 되었죠!---비트버니 앱이 뭐예요?비트버니는 M2E(Move to Earn) 기반의 리워드 앱이에요.걸으면서 포인트를 적립하고,매일 출제되는 상식 퀴즈로 보너스 포인트까지 챙길 수 있는 스마트한 앱입니다!---퀴즈 참여 방법 요약표---오늘의 정답은?> 정답: 유심 (USIM)---오늘의 상식 한 입유심(USIM)은 스마트폰 속 작은 칩이지만, 사실상 이동통신의 핵심이에요.사용자의 전화번호, 가입자 인증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어 이 칩만 바꾸면 폰을 바꿔도 통신이 가능하죠.요즘은 eSIM도 등장하면서 유심의 디지털화도 진행 중이랍니다!---비트버니 퀴즈, 매일 해야 하는 이유 .. 2025. 4. 30.
나도 모르게 새는 구독료 줄이는 실천법 – 월 3만 원은 그냥 줄일 수 있다 1. 구독경제 시대, 소비가 아닌 ‘누수’가 된다면?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음악 스트리밍, 온라인 신문, 심지어 커피 구독까지.요즘은 구독 하나쯤은 누구나 이용하고 있다. 문제는 이 구독이 ‘필요해서 쓰는 소비’인지, ‘잊고 흘려보내는 비용’인지 파악이 안 된다는 점이다.한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1인 평균 월 4~5건 이상의 유료 구독을 이용하고 있으며그중 30% 이상은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채 결제되고 있는 ‘좀비 구독’**이라는 통계도 있다.오늘은 당신의 카드명세서 속 숨어 있는 구독료를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실천 가능한 절약 팁 5단계로 정리해보겠다.2. 본문① ‘나도 몰랐던 자동결제 리스트’부터 찾자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본인의 카드 자동결제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다.우리는 ‘무료체.. 2025. 4. 29.
[경제공부 루틴📚] 공공재란? 모두가 함께 쓰지만, 가격은 없는 재화 "내가 안 냈는데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경찰, 도로, 공원, 소방… 우리가 일상에서 누리는 수많은 편익 중 일부는누가 얼마를 냈는지 따지지 않고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이런 재화나 서비스를 ‘공공재(Public Goods)’라고 부릅니다.오늘은 시장 가격도 없고, 경쟁도 없는 특이한 재화, 공공재에 대해 알아봅니다!🔹 공공재란?공공재(Public Goods)는모든 개인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국방, 경찰, 소방, 가로등, 공원, 도로, 해양 안전정보 등→ 특정 개인에게만 혜택이 가지 않고, 사회 전체가 함께 이용하는 재화예요.🔹 공공재의 대표적 성질1️⃣ 비경쟁성 (non-rivalry)→ 한 사람이 이용해도 다른 사람의 이용에 .. 2025.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