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경기종합지수 쉽게 이해하기 (feat. 선행·동행·후행지수)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4.
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의 경제 용어는 바로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CI)』입니다!


🔹 경기종합지수란?

경제에는 수많은 지표들이 존재하죠.
예: 산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고용률, 수출입 등등…

하지만!
이러한 개별 지표들은 경제의 ‘일부분’만 보여줄 뿐,
전체적인 경기 흐름을 파악하긴 어렵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경기종합지수(CI)입니다!

📊 여러 지표를 하나로 통합해 만든 ‘종합판 경제 성적표’라고 보면 됩니다.


🔹 경기종합지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1. 경기를 잘 반영하는 대표 지표들을 선정
  2. 계절변동과 불규칙 요인을 제거
  3. 진폭(변동폭)을 표준화하여 지수화
  4. 합산해 하나의 지수로 통합

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경기종합지수는
경기의 방향성과 변동 폭을 함께 보여주기 때문에
정책 판단이나 투자 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3가지 유형의 경기종합지수

구분 의미 활용 목적 대표 지표

선행종합지수 경기보다 먼저 움직임 경기 예측 재고순환지표, 소비자심리지수 등
동행종합지수 현재 경기 흐름 반영 현재 상황 진단 산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등
후행종합지수 경기 후에 반응 사후 확인 소비자물가상승률, 실업률 등

💡 ‘선·동·후’ 지수를 함께 보면, 과거-현재-미래의 경기 흐름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요!


🔹 경기종합지수 vs 경기동향지수

항목 경기종합지수 (CI) 경기동향지수 (DI)

목적 변동의 방향 + 크기 파악 변동의 방향성만 파악
계산 방식 가중합산 지수화 지표 상승 비율(%)
해석력 정교하고 정량적 직관적이고 빠름
구분 선행·동행·후행 지수 선행·동행·후행 지수

🔹 실생활에서의 활용

  • 주식 투자: 선행지수 상승 → 향후 경기 회복 기대 → 투자심리 개선
  • 정책 판단: 동행지수 하락 → 현재 경기 둔화 → 재정지출 확대 등
  • 경제 뉴스 해석: “경기종합지수 3개월 연속 상승” → 경기 회복 신호

📖 자료 출처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통계청 경기종합지수 해설자료

✅ 오늘도 하나의 경제 개념과 친해졌습니다!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