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은 3%라는데, 왜 이렇게 취업이 안 되는 걸까?”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의문을 갖습니다.
뉴스에서는 고용 상황이 나아졌다고 하는데, 내 주변에는 취업 준비 중이거나,
아르바이트를 전전하거나, 구직을 아예 포기한 사람도 많죠.이처럼 공식 실업률과 체감 실업률 사이의 괴리를 설명해주는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고용보조지표입니다. 오늘은 이 숨겨진 고용 현실을 드러내는
진짜 숫자, ‘고용보조지표’에 대해 알아봅니다.
🔹 고용보조지표란?
고용보조지표는
‘실업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숨은 실업 상태’를 반영한 보완 지표입니다.
📌 즉, 일하고 싶지만 여러 사정으로 실제 취업이 안 된 사람들까지 포함한 고용률 보완 수치죠.
🔹 왜 고용보조지표가 필요할까?
💡 국제노동기구(ILO)는 기존의 실업률로는
노동시장의 진짜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제로 한국에서도 공식 실업률은 낮지만,
아르바이트 중인 청년, 구직을 포기한 중장년층 등 실제로는 ‘사실상 실업자’인 경우가 많았죠.
그래서 등장한 것이 고용보조지표 시리즈(1~3)입니다.
이들은 기존 실업률보다 훨씬 더 넓은 계층을 포함합니다.
🔹 어떻게 구성될까?
고용보조지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지표명 포함 대상 계산 방식
고용보조지표 1 | 실업자 + 시간관련 추가취업 가능자 | (실업자 + 추가취업 가능자) ÷ 경제활동인구 |
고용보조지표 2 | 실업자 + 잠재구직자 + 잠재취업가능자 | (실업자 + 잠재경제활동인구) ÷ 확장경제활동인구 |
고용보조지표 3 | 실업자 + 추가취업 가능자 + 잠재경제활동인구 | (위 세 집단 모두) ÷ 확장경제활동인구 |
🔍 잠재경제활동인구란?
- 잠재구직자: 구직 의사는 있지만 최근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
- 잠재취업가능자: 구직 노력을 했지만 즉시 근무가 어려운 사람 (예: 육아 등)
🔹 실생활에서의 의미
- 공식 실업률이 낮다고 해서 고용 상황이 좋은 것만은 아니다
- 정부 정책 수립 시 고용보조지표까지 고려해야 실효성 있는 대책 수립 가능
- 청년 취업, 경단녀 재취업 등 정책의 사각지대를 발견할 수 있는 도구
📌 예를 들어, 실업률은 3%인데 고용보조지표3이 10%라면?
→ ‘숨겨진 실업자’가 많다는 뜻입니다.
🔹 핵심 요약
항목 설명
개념 | 실업률에 포함되지 않는 사실상 실업자를 반영한 보완지표 |
도입 배경 | 실업률의 한계 보완 (ILO 권고, 국내 체감실업률 반영) |
주요 포함 대상 | 시간관련 추가취업 가능자, 잠재구직자, 잠재취업가능자 |
종류 | 고용보조지표1~3 (포함 범위 순차 확장) |
활용성 | 정책 수립, 노동시장 분석, 청년 및 여성 고용 개선 방향 제시 |
📖 자료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ILO 국제기준 해설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오늘도 숫자 뒤에 숨은 진짜 고용 현실을 마주했습니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는 내 삶과 연결된 경제 지표를 쉽고 정확하게 전달합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 > 경제단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루틴📚] 고정금리 쉽게 이해하기 (feat. 변동금리와 비교 분석) (0) | 2025.04.20 |
---|---|
[경제공부 루틴📚] 고용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 쉽게 이해하기 (feat. 생산이 일자리를 만든다) (1) | 2025.04.19 |
[경제공부 루틴📚] 고용률 쉽게 이해하기 (feat. 체감과 다른 실업률의 진실) (1) | 2025.04.17 |
[경제공부 루틴📚] 계좌대체 쉽게 이해하기: 증권이 내 계좌로 ‘순간이동’하는 이유 (0) | 2025.04.16 |
[경제공부 루틴📚] 계좌대체 쉽게 이해하기 (feat. 실물 없는 증권 이전)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