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고정금리 쉽게 이해하기 (feat. 변동금리와 비교 분석)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20.
반응형

대출을 받을 때 "고정금리로 하시겠어요? 변동금리로 하시겠어요?"

이런 질문을 들으면, 순간 고민하게 됩니다.
“지금은 고정이 낫나? 그래도 떨어지면 변동이 이득 아닌가?”

금리를 선택하는 일은 내 미래의 이자 비용을 결정하는 일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고정금리’**가 무엇인지,
변동금리와 어떻게 다르고, 어떤 상황에서 유리한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고정금리란?

고정금리
처음 약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변하지 않는 금리 방식입니다.

📌 예를 들어, 만기 1년, 고정금리 4%로 대출을 받았다면,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오르든 내리든 이자는 4%로 고정됩니다.


🔹 변동금리와의 차이점은?

💡 반대로 변동금리는 일정한 주기마다 시장 금리에 따라 금리가 바뀌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 변동주기: 3개월
  • 기준: CD금리 + 0.5% (또는 50bp)

시장 금리가 바뀔 때마다 대출이자도 함께 오르거나 내립니다.

시점 CD금리 변동금리(CD+0.5%)

최초 3.0% 3.5%
3개월 후 3.2% 3.7%
6개월 후 3.5% 4.0%
9개월 후 4.0% 4.5%

🔹 어떤 상황에서 고정금리가 유리할까?

시장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될 때, 고정금리는 향후 이자 상승을 피할 수 있습니다.
지출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고 싶은 경우, 매달 고정된 금액으로 상환이 가능하죠.

반면 금리 하락기가 예상된다면 변동금리 선택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 정부가 고정금리 대출을 권장하는 이유?

최근에는

  •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기준금리 인상
  • 양적완화 축소 등 긴축 기조 전환
    → 한국도 시장금리 상승 압박

📌 이럴 때 고정금리는 차입자의 이자 부담이 갑자기 늘어나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그래서 정부도 주택담보대출 등에서 고정금리를 장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고정금리는 왜 일반적으로 더 비쌀까?

✔ 고정금리는 은행이 금리 변동 위험을 떠안기 때문입니다.
→ 미래의 금리가 더 올라갈 경우에도 같은 금리를 유지해야 하니까요.

📌 그래서 동일한 만기 조건이라면,
고정금리 > 변동금리인 경우가 많습니다.
(= 고정금리에 ‘위험 프리미엄’이 포함되어 있음)


🔹 핵심 요약

항목 설명

개념 약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고정되는 금리 형태
특징 시장 금리와 무관하게 이자율 유지
장점 금리 상승기 대비 가능, 상환 예측 가능
단점 금리 하락 시 손해 볼 수 있음, 초기 이자율이 높을 수 있음
비교 변동금리: 시장 금리에 따라 이자율 변동됨
정부정책 금리 상승기엔 고정금리 대출 권장

📖 자료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가이드
기획재정부 금융정책자료

✅ 오늘도 이자율의 비밀을 꿰뚫어봤습니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는 당신의 금융 생활을 똑똑하게 만들어 드립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