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을 받을 때 "고정금리로 하시겠어요? 변동금리로 하시겠어요?"
이런 질문을 들으면, 순간 고민하게 됩니다.
“지금은 고정이 낫나? 그래도 떨어지면 변동이 이득 아닌가?”금리를 선택하는 일은 내 미래의 이자 비용을 결정하는 일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고정금리’**가 무엇인지,
변동금리와 어떻게 다르고, 어떤 상황에서 유리한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고정금리란?
고정금리는
처음 약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변하지 않는 금리 방식입니다.
📌 예를 들어, 만기 1년, 고정금리 4%로 대출을 받았다면,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오르든 내리든 이자는 4%로 고정됩니다.
🔹 변동금리와의 차이점은?
💡 반대로 변동금리는 일정한 주기마다 시장 금리에 따라 금리가 바뀌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 변동주기: 3개월
- 기준: CD금리 + 0.5% (또는 50bp)
시장 금리가 바뀔 때마다 대출이자도 함께 오르거나 내립니다.
시점 CD금리 변동금리(CD+0.5%)
최초 | 3.0% | 3.5% |
3개월 후 | 3.2% | 3.7% |
6개월 후 | 3.5% | 4.0% |
9개월 후 | 4.0% | 4.5% |
🔹 어떤 상황에서 고정금리가 유리할까?
✔ 시장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될 때, 고정금리는 향후 이자 상승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지출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고 싶은 경우, 매달 고정된 금액으로 상환이 가능하죠.
반면 금리 하락기가 예상된다면 변동금리 선택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 정부가 고정금리 대출을 권장하는 이유?
최근에는
-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기준금리 인상
- 양적완화 축소 등 긴축 기조 전환
→ 한국도 시장금리 상승 압박
📌 이럴 때 고정금리는 차입자의 이자 부담이 갑자기 늘어나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그래서 정부도 주택담보대출 등에서 고정금리를 장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고정금리는 왜 일반적으로 더 비쌀까?
✔ 고정금리는 은행이 금리 변동 위험을 떠안기 때문입니다.
→ 미래의 금리가 더 올라갈 경우에도 같은 금리를 유지해야 하니까요.
📌 그래서 동일한 만기 조건이라면,
고정금리 > 변동금리인 경우가 많습니다.
(= 고정금리에 ‘위험 프리미엄’이 포함되어 있음)
🔹 핵심 요약
항목 설명
개념 | 약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고정되는 금리 형태 |
특징 | 시장 금리와 무관하게 이자율 유지 |
장점 | 금리 상승기 대비 가능, 상환 예측 가능 |
단점 | 금리 하락 시 손해 볼 수 있음, 초기 이자율이 높을 수 있음 |
비교 | 변동금리: 시장 금리에 따라 이자율 변동됨 |
정부정책 | 금리 상승기엔 고정금리 대출 권장 |
📖 자료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가이드
기획재정부 금융정책자료
✅ 오늘도 이자율의 비밀을 꿰뚫어봤습니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는 당신의 금융 생활을 똑똑하게 만들어 드립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 > 경제단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루틴📚] 고정분류여신 쉽게 이해하기 (feat. 은행이 위험자산을 다루는 법) (0) | 2025.04.22 |
---|---|
[경제공부 루틴📚] 고정금리부채권(SB) 쉽게 이해하기 (feat. 가장 기본적인 채권의 정석) (0) | 2025.04.21 |
[경제공부 루틴📚] 고용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 쉽게 이해하기 (feat. 생산이 일자리를 만든다) (1) | 2025.04.19 |
『[경제공부 루틴📚] 고용보조지표 쉽게 이해하기 (feat. 체감실업률 차이의 진짜 이유) (1) | 2025.04.18 |
[경제공부 루틴📚] 고용률 쉽게 이해하기 (feat. 체감과 다른 실업률의 진실) (1)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