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고용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 쉽게 이해하기 (feat. 생산이 일자리를 만든다)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19.
반응형

"정부가 1조 원을 투자하면 몇 명이 일자리를 얻을까요?"

경기부양책이나 예산 집행에 대한 뉴스에서
"○○명 고용유발효과"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 숫자는 도대체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요?

오늘은 경제정책의 효과를 수치로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고용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에 대해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 고용유발효과 / 취업유발효과란?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어떤 산업이나 정책의 생산 활동이 얼마나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쉽게 말해, *“10억 원 어치 생산하면 몇 명의 일자리가 생기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 왜 중요한가요?

💡 소비, 수출, 투자 같은 경제활동이 발생하면 생산이 늘어나고,
그 생산 과정에는 노동력 투입이 필수입니다.
이때 직접 + 간접적으로 고용되는 인원 수를 파악해
정책 효과나 산업별 일자리 창출력을 평가할 수 있죠.

정부 지출, 인프라 투자, 수출 진흥 등에서
고용 유발 효과가 큰 산업을 우선 지원하면 일자리 창출 효과가 커집니다!


🔹 어떻게 계산될까?

고용유발효과는 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1️⃣ 노동계수: 생산 10억 원당 직접 투입되는 노동량

  • 고용계수: 임금근로자(피용자)만 포함
  • 취업계수: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까지 포함

2️⃣ 생산유발계수: 최종수요 10억 원이 직접·간접적으로 얼마나 많은 생산을 유발하는지

📌 노동유발계수 = 노동계수 × 생산유발계수

  • 이때 고용계수를 사용하면 → 고용유발계수
  • 취업계수를 사용하면 → 취업유발계수

🔹 실생활에서의 의미

  • 산업별 일자리 창출력 비교 가능
    예: 서비스업보다 제조업, 제조업보다 건설업의 고용유발효과가 큰 경우가 많음
  • 정부 정책 평가 지표
    예: 10조 원 투자로 5만 명 고용유발 → 실제로 고용이 늘었는지 확인 가능
  • 사회적 가치 중심 투자 판단 기준
    → 고용유발이 큰 산업에 예산을 집중하면 실업률 개선 효과 큼

🔹 핵심 요약

항목 설명

개념 생산활동으로 인해 유발되는 직접·간접 고용 효과
산출 방식 노동계수 × 생산유발계수
구분 고용유발(피용자 중심) / 취업유발(전체 취업자 기준)
활용 사례 정책 평가, 산업 투자 우선순위, 일자리 창출 예측
특징 소비·수출·투자가 많아질수록 유발 고용도 증가

📖 자료 출처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해설서
기획재정부 일자리정책자료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오늘도 숫자 이면의 경제정책 효과를 꿰뚫어봤습니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는 내 삶과 연결된 경제개념을 쉽고 정확하게 전해드립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