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결제(Settlement) 쉽게 이해하기 (feat. 금융결제)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3. 27.
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 함께 알아볼 경제금융 용어는 바로 **『결제(Settlement)』**입니다.


🔹 결제란 무엇일까요?

결제(settlement)는 개인이나 기업이 자금이나 금융자산(주식, 채권 등)을 거래한 이후, 거래를 완료하기 위해 실제로 자금을 주고받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즉, 물건을 사고난 뒤 돈을 지불하거나 금융자산을 사고 팔 때 실제로 자금과 자산이 최종적으로 교환되는 행위입니다.


🔹 결제의 종류 쉽게 정리하기

결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자금결제 (Funds settlement)
    • 자금을 보내는 은행에서 자금을 받는 은행으로 돈이 이동되는 과정입니다.
    • 예시: 내가 송금한 돈이 A은행에서 B은행 계좌로 옮겨지는 과정
  2. 가치교환형 결제(Exchange-of-value)
    금융자산(증권, 외환 등)을 거래할 때 자산과 자금이 동시에 맞바꾸어지는 결제 방식입니다.
    • 증권결제: 주식이나 채권 등 금융상품과 자금이 동시에 거래
    • 외환결제: 두 가지 서로 다른 통화가 동시에 교환되는 방식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자금결제 예시:
    A씨가 B씨에게 100만 원을 송금하면, A씨의 은행에서 B씨의 은행으로 실제로 자금이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B씨의 계좌에 돈이 들어가게 됩니다.
  • 가치교환형 결제의 예시(증권거래):
    주식을 매수하면 주식을 사는 순간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가고, 동시에 주식이 본인 계좌로 입고됩니다. 이때 자금과 주식의 가치교환이 일어나죠.

🔹 결제 과정에서 중요한 '청산(Clearing)' 개념도 짚고 가기!

**결제(Settlement)**는 흔히 **청산(Clearing)**과 함께 자주 등장합니다.

  • **청산(Clearing)**은 거래 당사자 간 거래내역을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얼마를 주고받아야 하는지 확정하는 단계입니다.
  • **결제(Settlement)**는 청산을 마친 후 실제 자금 또는 금융자산이 이동하는 단계입니다.

즉, 청산이 거래내역 확정 단계라면, 결제는 실제 돈이나 자산이 움직이는 최종 단계입니다.


🔹 결제시스템의 중요성 (실생활 적용)

우리가 사용하는 금융거래는 모두 결제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이 원활하지 않으면 경제 전체에 큰 혼란이 생길 수 있죠.

결제가 지연되거나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금융시장 전체에 리스크가 커지기 때문에, 각국 금융기관들은 결제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실시간총액결제시스템(RTGS) 등 안정적 결제시스템을 운영합니다.


📖 자료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매일 하나씩 경제 용어를 익히면서 금융 문맹에서 탈출해 봅시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에서는 지속적으로 유용한 경제 개념을 공유합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