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의 경제용어는 바로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Diffusion Index)』**입니다!
🔹 경기동향지수란?
경기동향지수는 **‘경기 국면이 확장인지 수축인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 지표입니다.
- “경기가 좋아지고 있는 중인가요?”,
- “경제가 회복세인가요, 아니면 악화되고 있나요?”
이런 질문에 답해주는 지표가 바로 경기동향지수예요.
💡 쉽게 말해, ‘속도’나 ‘세기’가 아니라 **‘방향성’**을 본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경기동향지수와 경기종합지수의 차이점은?
🔹 경기동향지수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경기를 대표하는 주요 지표들(예: 생산, 고용, 투자 등) 중에서
전월 대비 ‘증가한 지표’의 수를 비율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 총 10개 지표 중 7개가 상승했다면 → 경기동향지수 = 70
- 3개만 상승했다면 → 경기동향지수 = 30
👉 기준선은 50입니다.
- 50 초과: 경기 확장국면
- 50 미만: 경기 수축국면
- 50 근처: 전환점(변곡점)의 가능성
🔹 왜 중요한가요?
경기동향지수는 경기 전환점을 조기에 포착하는 데 유용합니다.
특히, 다수 지표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를 통해
경기 회복 또는 침체의 확산 여부를 확인할 수 있죠.
📈 "많은 지표가 좋아지고 있다!" → 경기 확산 가능성 높음
📉 "많은 지표가 나빠지고 있다!" → 침체 우려 커짐
🔹 실생활 투자와의 연결고리!
✅ 투자자라면?
: 동향지수가 50을 넘는 시기엔 주식·부동산 등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가 활발해질 수 있어요.
✅ 소비자라면?
: 경기 확장 국면에선 소비심리도 좋아지고, 기업의 고용도 늘어나는 경향이 있죠.
📖 자료 출처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통계청 경기지표 해설자료
✅ 매일 하나씩 경제 개념을 익히며, 금융 문맹 탈출을 함께해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 > 경제단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루틴📚] 경기순응성 쉽게 이해하기 (feat. 대출과 경기변동) (0) | 2025.04.02 |
---|---|
[경제공부 루틴📚]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쉽게 이해하기 (feat. 국제협력의 중심) (1) | 2025.04.01 |
[경제공부 루틴📚] 경기(Business Conditions) 쉽게 이해하기 (feat. 경기순환) (0) | 2025.03.31 |
[경제공부 루틴📚] 겸업주의 vs 전업주의 쉽게 이해하기 (feat. 볼커룰) (1) | 2025.03.30 |
[경제공부 루틴📚] 결제완결성 쉽게 이해하기 (feat. 지급결제시스템)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