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 함께 알아볼 경제금융 용어는 **『경기(Business Conditions)』**입니다.
🔹 경기란 무엇일까요?
‘경기’라는 단어는 우리 일상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기업 입장에서 매출이 증가하고 수익성이 좋아지면 경기가 좋다고 느끼고,
- 가계 입장에서 임금이 오르거나 자산(주식·부동산) 가치가 상승하면 경기가 좋아졌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경제학에서 ‘경기’는 국민경제 전체의 경제활동 수준을 의미하며, 생산·소비·투자 등의 활동이 평균보다 활발하면 경기 호황, 위축되면 경기 침체로 판단합니다.
🔹 경기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변동한다! (경기순환)
경기는 호황 → 후퇴 → 불황 → 회복 → 호황의 사이클을 반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경기순환(Business Cycle)**이라고 합니다.
경기순환의 4단계
- 호황기(Boom)
- 생산 증가, 소비 활발, 고용 증가, 주식·부동산 상승
- 후퇴기(Slowdown)
- 성장률 둔화, 투자 감소, 기업 수익성 저하
- 불황기(Recession)
- 생산 위축, 실업 증가, 소비·투자 급감
- 회복기(Recovery)
- 경제활동 회복, 투자 증가, 소비 회복
이러한 경기순환 과정은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확장과 수축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 경기를 판단하는 방법 (경기 진단 방법)
경기를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경제지표 분석
- 생산, 투자, 고용, 수출 등의 경제지표 움직임을 분석하여 경기 흐름을 파악
- 경기종합지수 활용
- 경기종합지수, 경기동향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판단
- 설문조사
- 기업가 및 소비자의 경기 판단과 전망을 조사하여 경기 흐름을 예측
특히, 정부나 금융기관에서는 **경기종합지수(Leading Composite Index)**를 활용하여 미래 경기를 예측하고 정책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 연관 개념도 함께 알아보기!
-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기의 확산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특정 기간 동안 경기 개선 또는 악화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경기종합지수(Composite Index)
경기 변화를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로, 선행·동행·후행지수로 구분됩니다. - 동행종합지수(Coincident Composite Index)
현재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산업생산, 소매판매, 취업자 수 등의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실생활에서 경기의 의미
우리가 투자나 소비 결정을 내릴 때, 경기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경기가 호황일 때
-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을 늘리고, 주가와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
- 소비자들은 적극적으로 소비하며 경제활동이 활발해짐
- 경기가 침체될 때
- 기업들의 투자와 고용이 줄어들고, 주가와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 소비자들은 지출을 줄이고, 안전한 자산(금·달러·채권)에 대한 선호가 증가
따라서 경기 변화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면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자료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매일 하나씩 경제 용어를 익히면서 금융 문맹에서 탈출해 봅시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에서는 지속적으로 유용한 경제 개념을 공유합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 > 경제단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루틴📚]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쉽게 이해하기 (feat. 국제협력의 중심) (1) | 2025.04.01 |
---|---|
[경제공부 루틴📚] 경기동향지수 쉽게 이해하기 (feat. 경기확산지수) (0) | 2025.04.01 |
[경제공부 루틴📚] 겸업주의 vs 전업주의 쉽게 이해하기 (feat. 볼커룰) (1) | 2025.03.30 |
[경제공부 루틴📚] 결제완결성 쉽게 이해하기 (feat. 지급결제시스템) (0) | 2025.03.29 |
[경제공부 루틴📚] 결제리스크 쉽게 이해하기 (feat. 지급결제시스템)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