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경직적 물가지수 쉽게 이해하기 (feat. 신축적 물가와의 차이)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13.
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은 인플레이션 분석에 유용한 『경직적 물가지수』에 대해 함께 알아볼게요!


🔹 경직적 물가지수란?

*경직적 물가지수(Rigid CPI)는
가격이 잘 변하지 않는(경직적인) 품목들만 따로 모아서 만든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 “가격이 잘 안 움직이는 애들만 따로 묶은 물가 지표”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경직적 vs 신축적 물가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수많은 품목으로 구성되는데,
그중에서도 어떤 건 자주 바뀌고(신축적),
어떤 건 거의 안 바뀌는(경직적) 특성이 있어요.

구분 경직적 물가 신축적 물가

가격변동 느리게, 드물게 변동 자주, 빠르게 변동
주요 품목 전기·수도요금, 공공서비스, 담배, 급식, 보육료 등 채소, 과일, 석유, 의류 등
특징 정부 정책 영향 큼, 조정 어려움 시장 수급에 따라 가격 유동적
분석 포인트 장기적 물가 흐름 예측 단기 충격 파악에 유용

🔹 왜 중요한가요?

✅ 통화정책(금리 결정 등)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 신축적 물가는 일시적 충격에 흔들릴 수 있지만
  • 경직적 물가는 상대적으로 내재된 인플레이션 압력을 더 잘 보여줘요.

📌 그래서 중앙은행(예: 한국은행)은 경직적 물가 흐름을 분석하면서
“진짜 인플레이션이 올 조짐인가?”를 판단하는 데 참고합니다.


🔹 실생활 예시로 이해하기

품목 특징 경직적 or 신축적

전기요금 정부 통제, 연 1~2회 조정 경직적
고등어 가격 날씨와 어획량 따라 출렁 신축적
보육료 지방자치단체 기준, 변동 적음 경직적
기름값(휘발유) 국제유가 변동 따라 수시 조정 신축적

💡 한 번 정해지면 쉽게 바꾸기 어려운 구조 = 경직적 물가


🔹 경직적 물가지수와 근원인플레이션율의 차이

구분 경직적 물가지수 근원인플레이션율

기준 가격 변화 빈도 변동성 큰 품목 제외 (예: 농산물, 석유)
목적 인플레이션 기저 흐름 파악 일시적 변동 제거 후 안정적 흐름 추적
공통점 모두 통화정책 보조지표로 사용됨  

📖 자료 출처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한국은행 소비자물가지수 관련 통계 해설

✅ 오늘도 인플레이션의 ‘속마음’을 들여다보는 지표를 알게 됐습니다!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