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쉽게 이해하기 (feat. 경제활동참가율)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11.
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의 핵심 개념은 『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 경제활동참가율』입니다!


🔹 노동가능인구란?

먼저 기본 개념부터!

  • 노동가능인구 = 만 15세 이상 인구
    (단, 군인, 재소자 등은 제외)

이 노동가능인구를 기준으로 사람들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구분 설명

경제활동인구 일할 능력 + 취업 의사가 있는 사람
비경제활동인구 일할 능력 또는 의사가 없는 사람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실업자

구분 정의 예시

취업자 매월 15일 포함된 1주일 중 1시간 이상 수입 목적으로 일한 사람 직장인,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18시간↑)
실업자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했지만 일하지 못한 사람 이력서 제출, 면접 시도 등 구직 중인 사람

💡 일시적으로 쉬고 있어도 직장이 있으면 취업자로 분류됩니다! (휴가, 질병, 파업 등)


🔹 비경제활동인구는 누구일까?

예시 설명

전업 주부 가사와 육아를 담당하며 경제활동 의사가 없음
학생 전일제 학업에 집중하는 경우
고령자·장애인 일할 수 없는 건강 상태
구직단념자 일자리를 구하는 걸 포기한 상태

🙋‍♂️ 일할 수 있는데 의사가 없거나,
🙋‍♀️ 의사는 있지만 구직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으면 →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됩니다.


🔹 경제활동참가율이란?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취업자 + 실업자) ÷ 노동가능인구 × 100

📌 이 수치는 "일할 의지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냐"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참가율이 높다 낮다

고용 의지·시장 참여도가 높음 구직 포기자 많거나 고용 침체 가능성

🔹 실생활과 정책에서 왜 중요할까?

  • 고용 시장의 건강도 진단 가능
  • 참가율이 낮으면 숨은 실업자가 많을 수도 있음
  • 정부 정책 평가 기준으로 활용됨 (예: 청년참가율, 여성참가율 등)

🔹 함께 보면 좋은 개념

용어 설명

고용보조지표 공식 실업률로 잡히지 않는 ‘잠재적 실업자’ 포함 지표
잠재경제활동인구 일하고 싶지만 사정상 구직활동을 못 하는 사람

📌 실업률만 보면 감춰지는 고용 사각지대를 이 지표들이 보완해줍니다!


📖 자료 출처

  • 통계청 고용동향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오늘도 핵심 고용 개념을 제대로 이해했습니다!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