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의 핵심 개념은 『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 경제활동참가율』입니다!
🔹 노동가능인구란?
먼저 기본 개념부터!
- 노동가능인구 = 만 15세 이상 인구
(단, 군인, 재소자 등은 제외)
이 노동가능인구를 기준으로 사람들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구분 설명
경제활동인구 | 일할 능력 + 취업 의사가 있는 사람 |
비경제활동인구 | 일할 능력 또는 의사가 없는 사람 |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실업자
구분 정의 예시
취업자 | 매월 15일 포함된 1주일 중 1시간 이상 수입 목적으로 일한 사람 | 직장인,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18시간↑) |
실업자 |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했지만 일하지 못한 사람 | 이력서 제출, 면접 시도 등 구직 중인 사람 |
💡 일시적으로 쉬고 있어도 직장이 있으면 취업자로 분류됩니다! (휴가, 질병, 파업 등)
🔹 비경제활동인구는 누구일까?
예시 설명
전업 주부 | 가사와 육아를 담당하며 경제활동 의사가 없음 |
학생 | 전일제 학업에 집중하는 경우 |
고령자·장애인 | 일할 수 없는 건강 상태 |
구직단념자 | 일자리를 구하는 걸 포기한 상태 |
🙋♂️ 일할 수 있는데 의사가 없거나,
🙋♀️ 의사는 있지만 구직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으면 →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됩니다.
🔹 경제활동참가율이란?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취업자 + 실업자) ÷ 노동가능인구 × 100
📌 이 수치는 "일할 의지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냐"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참가율이 높다 낮다
고용 의지·시장 참여도가 높음 | 구직 포기자 많거나 고용 침체 가능성 |
🔹 실생활과 정책에서 왜 중요할까?
- 고용 시장의 건강도 진단 가능
- 참가율이 낮으면 숨은 실업자가 많을 수도 있음
- 정부 정책 평가 기준으로 활용됨 (예: 청년참가율, 여성참가율 등)
🔹 함께 보면 좋은 개념
용어 설명
고용보조지표 | 공식 실업률로 잡히지 않는 ‘잠재적 실업자’ 포함 지표 |
잠재경제활동인구 | 일하고 싶지만 사정상 구직활동을 못 하는 사람 |
📌 실업률만 보면 감춰지는 고용 사각지대를 이 지표들이 보완해줍니다!
📖 자료 출처
- 통계청 고용동향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오늘도 핵심 고용 개념을 제대로 이해했습니다!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 > 경제단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루틴📚] 경직적 물가지수 쉽게 이해하기 (feat. 신축적 물가와의 차이) (0) | 2025.04.13 |
---|---|
[경제공부 루틴📚] 경제후생지표 쉽게 이해하기 (feat. GNI의 한계 극복) (0) | 2025.04.12 |
[경제공부 루틴📚] 경제심리지수 쉽게 이해하기 (feat. BSI & CSI) (0) | 2025.04.10 |
[경제공부 루틴📚] 경제성장률 쉽게 이해하기 (feat. 실질GDP) (0) | 2025.04.09 |
[경제공부 루틴📚] 경영평가지표 쉽게 이해하기 (feat. 계량·비계량 평가) (1)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