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경제후생지표 쉽게 이해하기 (feat. GNI의 한계 극복)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12.
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 소개할 경제 개념은 『경제후생지표(MEW)』입니다!


🔹 경제후생지표란?

경제후생지표(Measure of Economic Welfare, MEW)는
전통적인 소득지표인 **국민총소득(GNI)**이
반영하지 못하는 국민 삶의 질과 복지 요소까지 포함한 지표예요.

📌 “얼마나 버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잘 사느냐”에 집중한 개념입니다!


🔹 왜 MEW가 등장했을까?

기존의 GNIGDP는 아래와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

포함하지 못하는 요소 의미

가사노동, 육아 경제적 가치 있지만 통계에 안 잡힘
여가 시간 삶의 질에 중요하지만 무시됨
공해, 범죄, 스트레스 소득은 올라도 후생은 악화될 수 있음

그래서 **노드하우스(W. Nordhaus)**와 **토빈(J. Tobin)**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려고 MEW를 제안했습니다.


🔹 MEW는 어떻게 계산할까?

MEW는 GNI를 기반으로 후생 요소는 더하고,
비후생 요소는 빼는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MEW=GNI+후생 요소−비후생 요소\text{MEW} = \text{GNI} + \text{후생 요소} - \text{비후생 요소}

후생 요소 (+) 비후생 요소 (–)

여가 시간, 가사노동 공해, 소음, 범죄, 도시혼잡 등
교통 편의, 공공서비스 자원 고갈, 환경파괴 등

🙋‍♀️ 돈보다 중요한 가치들, 예컨대 삶의 만족도와 환경을 계량화해보자는 시도죠.


🔹 왜 널리 쓰이지 않을까?

  • 후생 요소의 수량화가 어렵고 주관적
  • 통계 기준이 국가마다 다르고 측정이 복잡
  • 정책 지표로 쓰기에는 아직 불완전

📌 그래서 MEW는 참고 지표로는 의미 있지만,
공식 통계 지표로는 널리 사용되지 않는 중입니다.


🔹 MEW와 GNI, 어떻게 다를까?

구분 GNI (국민총소득) MEW (경제후생지표)

초점 소득 규모 삶의 질 + 후생
기준 시장에서 발생한 경제활동 시장 외 활동도 포함
한계 질적 수준 반영 부족 정성적 요소 반영 노력
활용성 정책·국제비교 지표 보완지표, 연구용 지표

📖 자료 출처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경제학자 W. Nordhaus & J. Tobin의 MEW 연구 논문 요약

✅ 오늘도 '삶의 질'을 생각하는 경제 개념 하나, 제대로 이해했습니다!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