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은행, 정말 안전할까?”
예금을 맡기거나 대출을 받을 때 은행의 재무건전성이 궁금해진다면
가장 먼저 살펴봐야 할 지표 중 하나가 바로 고정이하여신비율입니다.이 지표는 은행이 빌려준 돈 중 얼마나 회수가 어려운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일종의 ‘부실률 알림표’입니다.
오늘은 이 중요한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에 대해 쉽게 정리해봅니다.
🔹 고정이하여신비율이란?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이 보유한 대출(여신) 중에서 ‘정상’과 ‘요주의’를 제외한,
실질적인 부실 위험이 높은 여신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 (고정 + 회수의문 + 추정손실 여신 합계) ÷ 총여신 × 100
즉, 회수가 어렵거나 손실이 예상되는 자산이 전체 대출 중 몇 %인지를 나타냅니다.
🔹 여신의 자산건전성 분류 5단계 복습!
단계 의미
정상 | 상환능력 양호 |
요주의 | 일시적 상환 우려 있음 |
고정 | 상환능력 저하 명확 / 3개월 이상 연체 등 |
회수의문 | 회수 가능성 낮음 |
추정손실 | 사실상 회수 불가능 |
📌 이 중 **고정~추정손실까지 세 가지 등급이 ‘고정이하여신’**에 해당합니다.
🔹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다는 건?
- 부실 위험이 높은 대출이 많다는 의미
- 은행이 빌려준 돈 중 상당 부분이 회수에 실패할 수 있음
- 자산 건전성 악화, 대손충당금 적립 증가, 순이익 감소 가능성
✅ 반대로 비율이 낮을수록 은행 자산이 건전하다는 신호!
🔹 왜 중요한가요?
- 금융당국이 은행 건전성 평가할 때 핵심적으로 보는 지표
- 투자자와 예금자 입장에서는 은행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 국제 금융위기나 부동산 연체 확대 시, 이 비율이 급등하는 경우가 많음
🔹 실생활에서의 의미
- 뉴스에서 “○○은행 고정이하여신비율 상승”이라는 기사를 보면,
→ 그 은행의 부실 대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는 뜻 - 은행 간 비교 지표로도 유용
예: A은행 0.5%, B은행 1.2% → A은행의 자산 건전성이 더 좋다고 평가 가능 - 저축은행, 캐피탈, 보험사 등 비은행권 금융사도 동일 지표로 평가
🔹 핵심 요약
항목 설명
개념 | 부실 위험 높은 여신(고정~추정손실)의 비율 |
계산 | (고정 + 회수의문 + 추정손실) ÷ 총여신 × 100 |
기준 | 비율이 낮을수록 건전한 금융기관 |
영향 | 건전성 평가, 대손충당금 설정, 금융사 신용도에 영향 |
활용 | 금융감독원, 투자자, 신용평가사 등에서 주요 평가 지표로 사용 |
📖 자료 출처
금융감독원 은행업 감독규정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금융위원회 자산건전성 통계자료
✅ 오늘도 은행이 부실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한눈에 살펴봤습니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는 금융 시스템의 이면을 쉽게 풀어드립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 > 경제단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루틴📚] 고정환율 vs 자유변동환율제도 쉽게 이해하기 (feat. 삼불원칙까지!) (3) | 2025.04.25 |
---|---|
[경제공부 루틴📚] 고정자본소모 쉽게 이해하기 (feat. 기계도 닳고 가치도 닳는다) (1) | 2025.04.24 |
[경제공부 루틴📚] 고정분류여신 쉽게 이해하기 (feat. 은행이 위험자산을 다루는 법) (0) | 2025.04.22 |
[경제공부 루틴📚] 고정금리부채권(SB) 쉽게 이해하기 (feat. 가장 기본적인 채권의 정석) (0) | 2025.04.21 |
[경제공부 루틴📚] 고정금리 쉽게 이해하기 (feat. 변동금리와 비교 분석)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