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고정금리부채권(SB) 쉽게 이해하기 (feat. 가장 기본적인 채권의 정석)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21.
반응형

 

“채권에도 종류가 있다고요?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채권’은 뭘까요?”

투자 공부를 시작하면 주식 외에도 채권이란 단어가 자주 등장하죠.
그런데 생각보다 종류가 많고 복잡합니다.
전환사채, 교환사채, 물가연동채권, 변동금리채권…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채권,
바로 **고정금리부채권(Straight Bond)**에 대해 이해해보겠습니다.


 

 고정금리부채권(Straight Bond)이란?

**==고정금리부채권(SB)은
정해진 이자율(고정금리)을 정해진 시점마다 지급하고, 만기일에 원금을 상환하는 채권입니다.

📌 복잡한 조건 없이,

  • 매년 혹은 분기마다 고정된 이자 수령
  • 만기일에 원금 상환
    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갖고 있죠.

특별한 전환조건(주식 전환 등)이 없는 가장 ‘스트레이트한’ 구조의 채권!


🔹 어떤 채권들이 여기에 해당할까?

  • 국채, 회사채, 지방채 등 대부분의 일반 채권들이
    📌 고정금리부로 발행됩니다.

반면, 다음은 고정금리부채권이 아닌 사례예요:

  • 전환사채(CB): 일정 조건에 따라 주식으로 전환 가능
  • 변동금리부채권(FRN): 이자율이 CD금리 등 시장금리에 따라 변동
  • 물가연동채권: 원금이 물가상승률에 따라 변동

🔹 고정금리부채권 vs 변동금리부채권

구분 고정금리부채권(SB) 변동금리부채권(FRN)

이자율 고정 시장금리 연동(CD, LIBOR 등)
안정성 예측 가능 금리 변동에 민감
유리한 상황 금리 하락기 금리 상승기

📌 투자자가 미래 금리 하락을 예상할 경우, 고정금리부채권을 사는 게 유리합니다.
→ 반대로, 금리가 오를 것 같으면 FRN 투자가 더 낫습니다.


🔹 실생활에서의 의미

  • 채권 투자 입문자라면 고정금리부채권이 가장 이해하기 쉽고 예측이 쉬움
  • 연금형 투자나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 채권 ETF 등에서도 고정금리형 상품이 많기 때문에 기초 지식으로 중요함

“예금보다 조금 더 수익률을 추구하고 싶다”는 사람이
고정금리부 채권으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도 합니다.


🔹 핵심 요약

항목 설명

개념 고정된 이자율로 정기이자 지급 + 만기 원금 상환하는 기본 채권
이자 방식 고정금리 (만기까지 변하지 않음)
대상 예시 국채, 회사채 등 대부분의 일반 채권
적합 투자자 금리 하락기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사람
비교 대상 변동금리부채권(FRN), 전환사채(CB), 물가연동채권 등

📖 자료 출처
금융위원회 채권 투자 가이드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기획재정부 채권시장 해설

✅ 오늘도 ‘채권의 가장 기본형’을 배웠습니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는 당신의 금융 기초를 탄탄히 쌓아드립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