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공급사용표(SUT)란? 산업과 상품의 흐름을 정밀하게 그린 지도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30.
반응형

“어떤 산업이 무엇을 얼마나 생산하고, 그 생산물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궁금한 적 있나요?”

우리가 마시는 커피 한 잔도 수많은 산업과 상품의 흐름 속에 존재합니다.
경제를 보다 정밀하게 이해하려면 그 흐름을 수치로 정리한 지도가 필요하죠.

그 지도를 제공해주는 것이 바로 공급사용표(Supply and Use Tables; SUT)입니다.
오늘은 국가 통계의 기초이자, 산업 구조와 상품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이 표에 대해 알아봅니다.


🔹 공급사용표(SUT)란?

공급사용표(SUT)는
각 산업이 어떤 상품을 얼마나 생산(공급)하고,
그 상품이 어디에 얼마나 쓰였는지를 기록한 통계표
입니다.

📌 말 그대로 ‘무엇을 공급하고, 어디에 사용했는가’에 대한 종합적 장부!

✔ 산업 기준 → 현실을 보다 잘 반영
국민소득통계, 국민대차대조표, 산업연관표 등과 정합성 유지에 핵심 역할


🔹 SUT 구성

공급사용표는 두 개의 표로 구성됩니다:

1️⃣ 공급표 (Supply Table)

  • 세로 방향: 산업별로 어떤 상품을 얼마나 생산했는지
  • 가로 방향: 특정 상품이 어떤 산업에서 공급되었는지

📌 예: '자동차'라는 상품이 자동차 제조업뿐만 아니라 부품 조립 산업에서도 공급될 수 있음

2️⃣ 사용표 (Use Table)

  • 세로 방향: 각 산업이 생산활동을 위해 어떤 중간재와 부가가치를 사용했는지
  • 가로 방향: 공급된 상품이 중간수요(다른 산업에 사용) 혹은 최종수요(소비, 수출 등)로 어디에 쓰였는지

📌 예: 자동차 부품은 자동차 제조에 투입되거나 수출될 수 있음


🔹 투입산출표(IO표)와의 차이점

구분 공급사용표(SUT) 투입산출표(IO표)

기준 산업 중심 상품 중심
현실 반영 높음 상대적으로 낮음 (산업=상품 가정)
통계 정합성 높음 (국민계정과 연계) 보조적 역할
목적 국민계정 통계 작성, 경제구조 분석 생산·소비 간 상호의존 분석

📌 IO표는 하나의 산업이 하나의 상품만 생산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여
복잡한 현실 산업 구조를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 실생활에서의 의미

  • 정부는 공급사용표를 통해 산업별 구조조정, 투자 방향을 판단
  • 기업은 중간재 흐름과 소비 수요 분석에 활용
  • 학계와 연구기관은 산업 간 연계 효과, 부가가치 창출 흐름 분석에 활용

예: 배터리 산업이 어떤 산업에 얼마나 공급되고,
어떤 수요처(수출,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지 분석 가능


🔹 핵심 요약

항목 설명

개념 산업별 상품 공급과 사용 내역을 나타낸 통계표
구성 공급표 + 사용표
공급표 산업 → 상품 생산 내역, 상품 → 어떤 산업에서 공급됐는지
사용표 산업의 생산 투입요소(중간재·부가가치), 상품의 수요처
특징 현실 반영도 높고, 국민계정 정합성 유지에 필수
비교 지표 투입산출표(IO표), 국민소득통계, 국민대차대조표와 연계 활용

📖 자료 출처
통계청 국민경제통계 작성지침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OECD System of National Accounts (SNA)

✅ 오늘도 산업과 상품의 흐름을 읽는 눈을 하나 더 갖게 되었습니다!
📌 김주임의 머니스토리는 통계의 언어를 일상의 눈높이로 번역해드립니다.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