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상식 쉽게 알기] 공급탄력성이란 무엇일까?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5. 1.
반응형

1. 공급탄력성이란?

공급탄력성은 특정 상품의 가격이 변할 때, 공급자가 얼마나 민감하게 공급량을 변화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쉽게 말해, 가격이 오르면 공급자들이 얼마나 빨리 더 많이 팔 준비를 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공급탄력성을 계산하는 법

공급탄력성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 공급탄력성 = 공급량 변화율 ÷ 가격 변화율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의 가격이 1% 상승했을 때 공급량이 2% 증가했다면, 공급탄력성은 2(2%÷1%)가 되고, 이 상품은 '탄력적'이라고 합니다. 즉, 공급자들이 가격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는 경우죠.

반대로, 가격이 1% 상승했는데 공급량은 0.5%밖에 증가하지 않았다면, 공급탄력성은 0.5로 '비탄력적'이라고 부릅니다. 가격 변화에 둔감하다는 뜻이죠.

3. 공급탄력성의 종류

  • 탄력적 공급 (공급탄력성 > 1):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공급량을 크게 조절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옷이나 생활용품 등 생산을 쉽게 늘릴 수 있는 상품들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비탄력적 공급 (공급탄력성 < 1): 가격이 변해도 공급량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대표적으로 농산물처럼 바로바로 공급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상품이 해당합니다.
  • 단위 탄력적 공급 (공급탄력성 = 1): 가격 변화율과 공급량 변화율이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입니다.
  • 완전 비탄력적 공급 (공급탄력성 = 0): 가격 변화가 공급량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때의 공급곡선은 수직선 형태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토지와 같은 자원이 여기에 속합니다.
  • 완전 탄력적 공급 (공급탄력성 = ∞): 가격이 조금이라도 변하면 공급량이 무한대로 늘어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공급곡선은 수평선의 형태를 가집니다.

4. 공급탄력성이 중요한 이유

공급탄력성은 시장에서 가격이 변동할 때 공급자가 얼마나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투자자나 소비자 입장에서도 이를 잘 이해하면 가격 변화에 따른 시장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부동산 시장처럼 공급이 비탄력적인 시장에서는 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반면, 공급이 탄력적인 시장에서는 가격이 비교적 안정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공급탄력성은 복잡해 보이지만, '가격이 바뀌었을 때 공급량이 얼마나 민첩하게 변하는가'로 쉽게 기억하면 됩니다. 이를 잘 이해하면 경제기사를 읽을 때 한층 수월해질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