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경영지도비율 쉽게 이해하기 (feat. BIS비율·유동성비율)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7.
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의 경제·금융 용어는 『경영지도비율』입니다!


🔹 경영지도비율이란?

경영지도비율이란,
금융당국(금융위원회)이 은행들의 재무 건전성과 유동성 확보를 위해
정해놓은 최소 기준 비율입니다.

📌 쉽게 말해, “은행이 망하지 않도록 최소한 이 정도는 지켜라!” 하는 안전기준이죠.


🔹 왜 필요할까요?

은행은 예금자의 돈을 받아서 대출, 투자 등의 형태로 운영하기 때문에
신용 질서와 예금자의 안전을 보장하려면 일정 수준의 자기자본과 유동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그래서 [은행법 제45조], [은행업 감독규정 제26조]에 따라
경영지도비율을 설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감독합니다.


🔹 대표적인 경영지도비율 2가지

구분 내용 최소 기준

BIS 자기자본비율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 비율 통상 8% 이상
원화유동성비율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하는 유동성 비율 통상 100% 이상

✅ 이 비율들을 충족하지 못하면, 금융당국이 경영개선조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경영개선조치란?

은행이 경영지도비율을 지키지 못하면…

  1. 경영개선권고 → 자율적으로 개선 계획 제출
  2. 경영개선요구 → 일정 기한 내 시정 조치
  3. 경영개선명령 → 임원 해임, 영업정지 등 강력한 조치

📌 즉, 이 비율을 못 지키면 ‘은행의 경고등’이 켜진 셈이죠!


🔹 실생활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 내가 이용하는 은행이 경영지도비율 미달 상태라면?
    → 예금자 입장에서 불안정 요소 발생
  • 금융투자자 입장에선?
    BIS비율이 높은 은행은 상대적으로 안정성 높은 투자처
  • 부동산·대출 시장에도 영향
    → 유동성비율 강화 시, 대출심사 강화·금융축소 가능성 있음

📖 자료 출처

  • 금융위원회 은행업 감독규정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오늘도 하나의 금융 지표를 이해하고 갑니다!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