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경제단어공부

[경제공부 루틴📚] 경제성장률 쉽게 이해하기 (feat. 실질GDP)

by 김주임의 머니 스토리 2025. 4. 9.
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의 경제 용어는 바로 『경제성장률(Economic Growth Rate)』입니다!


🔹 경제성장률이란?

경제성장률은 한 나라의 경제 규모가 얼마나 커졌는지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예요.

쉽게 말해, “우리나라가 작년보다 얼마나 더 부자가 됐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 어떤 수치를 기준으로 할까요?

경제성장률은 보통 실질GDP(실질 국내총생산)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GDP(국내총생산): 한 나라 안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액
  • 실질GDP: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제거한, 실제 구매력 기준 GDP

📌 실질GDP를 써야 진짜 경제활동의 성장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어요!


🔹 경제성장률 계산 공식

\text{경제성장률(%) = } \left( \frac{\text{금년 실질GDP - 전년 실질GDP}}{\text{전년 실질GDP}} \right) \times 100

예:
전년 실질GDP = 2,000조 원
금년 실질GDP = 2,100조 원
→ 성장률 = ((2,100 - 2,000) ÷ 2,000) × 100 = 5%


🔹 복리식으로 연평균 성장률을 계산하려면?

수년간 평균 성장률은 단순 평균이 아니라 복리 연율을 사용해 계산합니다.

연평균 성장률=(최종 GDP초기 GDP)1n−1\text{연평균 성장률} = \left( \frac{\text{최종 GDP}}{\text{초기 GDP}} \right)^{\frac{1}{n}} - 1

예: 5년 동안 1,000조 → 1,500조라면, 연평균 성장률은 약 8.45%


🔹 왜 중요한가요?

경제성장률이 높으면? 낮으면?

고용 증가, 기업투자 활발, 세수 확대 실업 증가, 소비 위축, 경기침체 우려
국민의 삶의 질 향상 가능성 ↑ 경기부양정책 필요성 ↑

📌 정부나 중앙은행이 경기정책을 결정할 때
경제성장률은 핵심 지표로 쓰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개념

  • 잠재GDP성장률: 경제가 과열이나 침체 없이 달성할 수 있는 성장률
    → 실제 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으면? → 경기 부양 필요!
  • 1인당 GDP: 단순 GDP 외에도 인구 대비로 소득 수준 파악 가능

📖 자료 출처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 오늘도 한 걸음 더 경제를 이해했네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