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작은 경제 습관이 모이면, 내일은 더 자유로워진다! 💰
안녕하세요, 김주임의 머니스토리입니다 😊
오늘의 경제 용어는 바로 『경제심리지수(Economic Sentiment Index, ESI)』입니다!
🔹 경제심리지수란?
경제심리지수(ESI)는
기업과 소비자들이 경제 상황을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실제 숫자(실물지표)만으로는 알 수 없는
“경제 분위기”, “심리적 기대”를 보여주는 ‘감성 데이터’라고 볼 수 있어요!
🔹 ESI는 이렇게 만들어져요!
경제심리지수는 아래 두 가지 심리지표를 종합해서 계산합니다:
지표 설명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기업가들을 대상으로 한 경기 인식 설문 |
소비자동향지수(CSI) |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제 전망 설문 |
📌 한국은행은 이 두 지표 중에서
경기와 관련이 높은 항목들만 선별해
표준화 + 가중 평균 방식으로 종합 ESI를 계산합니다.
🔹 ESI 수치 해석법
지수 값 해석
100 초과 | 과거 평균보다 경기 전망이 낙관적 |
100 미만 | 과거 평균보다 비관적인 분위기 |
✅ 예: ESI가 105라면? → 민간 경제심리는 ‘좋을 것 같음!’
✅ ESI가 95라면? → ‘경기가 나빠질지도…’라는 불안감 존재
🔹 왜 중요한가요?
- 선행지표 성격
: 경제심리는 미래 기대를 반영하므로,
실물지표보다 조금 앞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정책·투자 참고자료
: 중앙은행은 심리지표를 보고 금리 결정 시 참고하고,
투자자도 “소비자들이 소비할까? 기업들이 투자할까?”를 가늠하는 데 활용합니다.
🔹 심리지표 vs 실물지표
항목 심리지표(ESI 등) 실물지표(GDP, 고용 등)
기반 | 설문조사 (질적 데이터) | 실제 수치 (양적 데이터) |
반영시점 | 기대, 전망 중심 | 현재 또는 과거 중심 |
변동성 | 감정·이슈에 민감 | 상대적으로 안정적 |
💡 둘은 보완적 관계입니다. 항상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해요!
📖 자료 출처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 한국은행 통계시스템(ESI 발표 자료)
✅ 오늘도 한 걸음 더, 경제를 ‘느낌까지’ 이해했습니다!
김주임의 머니스토리, 구독과 공감,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반응형
'6. 김주임의 루틴만들기 > 경제단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루틴📚] 경제후생지표 쉽게 이해하기 (feat. GNI의 한계 극복) (0) | 2025.04.12 |
---|---|
[경제공부 루틴📚] 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쉽게 이해하기 (feat. 경제활동참가율) (0) | 2025.04.11 |
[경제공부 루틴📚] 경제성장률 쉽게 이해하기 (feat. 실질GDP) (0) | 2025.04.09 |
[경제공부 루틴📚] 경영평가지표 쉽게 이해하기 (feat. 계량·비계량 평가) (1) | 2025.04.08 |
[경제공부 루틴📚] 경영지도비율 쉽게 이해하기 (feat. BIS비율·유동성비율) (0) | 2025.04.07 |